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환경 정책 이해하기
최근에 EU가 2023년 10월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시행을 발표했습니다. 이 제도는 탄소 배출에 관세를 매기는 것으로, 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품에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이 CBAM이 왜 도입되었고, 우리 기업들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해 알아보기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배경
탄소국경조정제도는 온실가스 규제가 강한 국가의 기업들이 경쟁에서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기업들은 온실가스 규제로 인한 생산 비용 상승을 피하기 위해 규제가 없는 국가로 이전하는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국경조정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탄소국경조정제도 주요 대상 품목
주요 대상 품목은 철강, 시멘트, 화학비료, 알루미늄, 전기, 수소 등으로, 이들 중 EU로 수입되는 제품 중 EU에서 생산되는 제품보다 탄소 배출량이 많은 경우에 과세 대상이 됩니다. 2023년 10월부터 2025년까지는 전환 기간으로, 이 기간 동안 EU 수출 제품 생산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합니다. 그리고 2026년 1월부터는 CBAM 인증서를 구입하여 탄소 비용을 지급해야 합니다.
▲ 배출권시장 정보플랫폼 : 탄소배출권에 대한 국내 및 해외 시세조회 관련 교육과 보도자료 등 배출권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응전략
우리 기업들이 이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환경부는 전담 조직을 구성하고, 배출량 산정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온실가스 감축이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들이 이를 위기가 아닌 기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환경부는 다양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기업들은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한 이해와 준비를 통해 이 변화를 기회로 삼아 경쟁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친환경적인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높은 환경 기준을 충족하면서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기업들이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 탄소 배출량 측정 및 관리: 기업은 자체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탄소배출량을 최소화하고 규제 대상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친환경 기술 도입: 탄소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친환경 기술을 연구, 개발 및 도입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환경 관련 법규 및 정책 파악: 기업은 탄소국경조정제도 외에도 다양한 환경 관련 법규 및 정책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협력업체 및 공급망 관리: 기업은 협력업체 및 공급망에서의 탄소 배출량 관리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전체 공급망의 친환경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탄소국경조정제도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는 전 세계 기업들에게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환경과 경쟁력을 동시에 높이는 기업은 미래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업무정보 > 환경 및 신재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에너지공단 온실가스 감축량 계산기 사용법 (0) | 2023.04.25 |
---|---|
한국에너지공단 효율관리기자재 신고확인서 조회방법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1) | 2022.10.15 |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한국에너지공단 온실가스 감축량 계산기 사용법
한국에너지공단 온실가스 감축량 계산기 사용법
2023.04.25 -
한국에너지공단 효율관리기자재 신고확인서 조회방법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한국에너지공단 효율관리기자재 신고확인서 조회방법 (에너지소비효율등급표시제도)
2022.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