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Google보다는 Naver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만큼은 독보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3년도 1분기에는 Naver는 76.73% Google은 4.58%의 검색엔진 점유율을 보여주었고, 2014년도 1분기에는 Naver의 경우 81.20% Google은 2.06%를 차지했습니다.
Google의 검색기술
Google은 사용자에게 검색 이외의 불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고유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들의 링크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들이 찾고자 하는 관련성 높은 웹페이지를 보여줍니다. 예를들어 해당 웹페이지가 얼마나 링크되어 있고 인용되어 있는지에 따라서 검색결과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국내 사용자는 왜 Naver를 사용할까?
사용자에 따라 Naver를 사용하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저는 오늘 검색에 대해서만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과제나 업무를 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찾을 때 Naver에서 먼저 검색하고, 원하는 자료가 없을 때 Google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검색하는 내용에 따라 다르겠지만 Naver의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한글로 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원하는 자료를 찾기가 쉬울 수 있지만 Google의 경우에는 검색어를 영어로 입력했을 때 한글이 아닌 영어로 된 자료들이 주로 검색되는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왜 Google을 써야하지?
많은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Naver에서 원하는 정보를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Naver에서도 역시 원하는 자료를 찾기가 어려울 겁니다. 블로그나 개인 웹사이트의 경우에는 Naver나 국내 포털에서 등록을 해야 해당 포털에서 검색이 됩니다. 저 역시 워드프레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별도로 네이버에 신청을 했기 때문에 이러한 저의 글들이 네이버에서 검색이 됩니다.
Naver 에서 IFTTT 검색해보기
IFTTT 에 대해서 더 잘 알고 싶어서 Naver에 검색을 하면 한글로 된 다양한 사용기와 뉴스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Google 에서 IFTTT 검색해보기
반면 Google의 경우에는 영어로 된 자료가 우선적으로 검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어 웹페이지만 나타내는 방법
영어로만 검색어를 입력하면 주로 영어로 된 내용만 검색이 될겁니다. 그 경우에 아래의 방법을 이용하면 한국어 웹페이지의 결과만 나타나게 됩니다.
한국어 웹페이지로 변경 후 검색결과
마치며
정말 유용한 Google 검색 기술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러한 자료들은 많은 사람들에 의해서 잘 정리되었기 때문에 인터넷을 이용하여 쉽게 찾아보실 수 있으실 겁니다. 아래의 링크는 제가 최근에 본 글인데 GIF를 이용해서 잘 정리해 둔 것 같으니 한번 읽어 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겁니다.
Google링의 고수가 되는 검색 트릭 14